[스크랩] 세계의 성지 ♣ 현재위치 : 홈 > 가톨릭 안내 > 국외성지 > 터 키 터 키 그리스 이집트 이스라엘 이탈리아 바티칸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칼 멕시코 벨기에 네덜란드 폴랜드 기타국가 세계7대교회 i --> ! --> 터키 국가소개 2 --> 블루 모스크 (술탄아흐멧 모스크 SULTAN AHMET MOSQUE) 109 1 --> 성소피아 (HAGIA SOFIA, AYA SOFIA) .. 성지·사적지/해외성지 2007.08.06
[의정부]마재 [의정부] 마재 다산 정약용을 비롯한 4형제의 생가 터로 이름난 마재는 우선 그 생김새부터가 재미있다. 북한강과 남한강이 마주 서로 만나는 양수리에서 팔당댐 방향으로 3킬로미터쯤 가다 보면 왼쪽으로 그 입구가 나타난다. 그런데 그 모양이 혹처럼 불쑥 튀어나와 있어 마치 한강물을 지키는 파수.. 성지·사적지/의정부교구 2005.03.01
[의정부]황사영 묘 [의정부] 황사영 묘 소 재 지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부곡리 가마골 지리좌표 황사영 묘소 앞 북위 37°44′28″ 동경 126°58′38″ 문 의 처 의정부2동 성당 혹독한 박해의 상황을 북경 주교에게 고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건의했던 '백서(帛書)'의 주인공인 황사영의 묘는 지난 1980년에 들어서야 겨우 그 위.. 성지·사적지/의정부교구 2005.03.01
[서울]삼성산 [서울] 삼성산 삼성산은 1839년 기해박해 때 새남터에서 군문 효수(軍門梟首)의 형을 받고 순교한 앵베르 주교와 모방·샤스탕 신부가 1836년부터 1901년 11월 2일 명동 성당 지하 묘소로 모셔질 때까지 묻혀 있던 묘자리이다. 본래부터 삼성산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던 이곳은 세 분의 순교성인이 묻힘으.. 성지·사적지/서울대교구 2005.03.01
[서울]절두산 [서울] 절두산 한강변에 우뚝 솟은 봉우리의 모양이 누에가 머리를 든 것 같기도 하고 용의 머리같기도 하다고 해서 잠두(蠶頭) 또는 용두(龍頭)로 불리던 서강(西江) 밖의 봉우리가 절두산(切頭山)이 된 데에는 가슴 시린 아픔이 있다. 대원군이 자신의 쇄국 정책을 버티어 나가기 위해 무자비한 살육.. 성지·사적지/서울대교구 2005.03.01
[서울]새남터 [서울] 새남터 소 재 지 서울 용산구 서부이촌동 지리좌표 성모상 앞 북위 37°31′29″ 동경 126°57′26″ 문 의 처 새남터 성당 서울 용산구 이촌동 199의 1번지. 1호선 전철을 타고 용산역을 지나다 보면 말끔하게 단장된 커다란 한옥 기와집이 눈에 들어온다. 한국 천주교회 창립 2백주년 기념의 해인 198.. 성지·사적지/서울대교구 2005.03.01
[서울]왜고개(현 국군중앙성당) [서울] 왜고개(현 국군중앙성당) 소 재 지 서울 용산구 용산동 3가 1 지리좌표 성당 앞 북위 37°31′29″ 동경 126°58′07″ 문 의 처 국군 중앙 성당 1839년 기해박해 때 군문 효수(軍門梟首)의 형을 받고 순교한 앵베르 주교와 모방, 샤스탕 신부 그리고 1886년 병인박해 때 서소문 밖 네거리에서 순교한 성 .. 성지·사적지/서울대교구 2005.03.01
[서울]옛 용산신학교 성당 [서울] 옛 용산 신학교 성당 소 재 지 서울 용산구 원효로 4가 지리좌표 성당 앞 북위 37°32′04″ 동경 126°57′21″ 문 의 처 예수 성심 수녀원 관구 사무실 지금은 성심 여고 교정 안에 속하게 된 옛 용산 신학교 성당과 예수 성심 수녀회 관구 사무실로 쓰이고 있는 신학교 건물은 성소의 못자리였던 .. 성지·사적지/서울대교구 2005.03.01
[서울]당고개 [서울] 당고개 소 재 지 서울 용산구 신계동 1-57 지리좌표 순교 현양탑 앞 북위 37°32′08″ 동경 126°58′02″ 문 의 처 삼각지 성당 당고개 순교지는 서소문 밖 네거리, 새남터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성인을 탄생시킨 성지이다. 한국 교회에서 가장 많은 순교자를 배출한 서소문 밖 네거리 형장에서 41.. 성지·사적지/서울대교구 2005.03.01
[서울]서소문 [서울] 서소문 소 재 지 서울 중구 의주로 서소문 공원 지리좌표 순교자 현양탑 앞 북위 37°33′40″ 동경 126°58′10″ 문 의 처 중림동 성당 1984년 이땅에는 103위 순교 성인의 탄생이라는 세계 교회사상 드문 하느님의 역사가 나타났다. 순교자들의 피로 세운 신앙의 터는 오늘날 우리 신앙인들의 가슴.. 성지·사적지/서울대교구 2005.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