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사적지/의정부교구

[의정부]마재

알타반 2005. 3. 1. 21:59

[의정부] 마재

 

 


정다산의 생가 터였던 자리에 서 있는 여유당 기념 비석


산 정약용을 비롯한 4형제의 생가 터로 이름난 마재는
우선 그 생김새부터가 재미있다. 북한강과 남한강이 마주 서로 만나는 양수리에서
팔당댐 방향으로 3킬로미터쯤 가다 보면 왼쪽으로 그 입구가 나타난다. 그런데 그
모양이 혹처럼 불쑥 튀어나와 있어 마치 한강물을 지키는 파수꾼 같다.


마재의 정다산 유적지에는 사당과 기념관, 생가 터 등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고
언덕 위에는 다산의 묘소가 있다. 이 묘소에서 내려다보면 마을과 한강을 넘어 천진암이
있는 앵자봉 계곡이 펼쳐지고 그 오른쪽은 약종이 살았으며 묘소가 있던 배알미리(拜謁尾里)가
된다. 지금은 팔당댐으로 물길이 바다처럼 넓어졌으나 2백 년 전의 능내리(마재)와
배알미리는 강을 사이에 두고 있을지언정 이웃 마을이었음에 틀림없다.



한가로운 모습으로 순례객들을 맞아 주고 있는 정다산 묘소 전경

 

정약현·약전·약종·약용
등 여기서 태어난 4형제 중 셋째인 약종은 천주 신앙을 위해 피글 흘린 순교자로,
약용은 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학자로 우리의 기억속에 남아 있다. 그러나 약현의
부인이 이벽 성조의 누이, 정씨 형제의 누이가 최초의 세례자 이승훈의 부인, 약현의
사위가 황사연이라는 것을 알면 정씨 형제가 얼마나 천주교와 깊은 인연을 맺고 있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이들 중 정다산은 그의 형 약종처럼 순교하지는 않았으나 천수(天壽)를 다하면서
「목민 심서」,「경세 유표」,「흠흠 신서」등 수많은 명저를 남겼다. 그는 본래
세례자 요한이라는 세례명을 갖고 10여 년간 열심히 신앙 생활을 했다. 제사 문제로
번진 신해박해 때(1971년)만 해도 그는 교회를 떠나지 않았다. 그러던 중 을묘년(1795년)
포도청 장살 사건이 당쟁으로 발전, 좌천되면서 반대파의 원성을 가라앉히기 위해
자명소(自明疏)를 올린다. 즉 천주교를 떠났다는 것을 글로써 명백히 밝힌 것이다.


잘 보존되어 있는 정다산 생가 터

 

이어
그는 신유박해(1801년)때 배교함으로써 죽음을 면하고 전남 강진으로 유배를 갔다,
실학을 집대성한 5백여 권의 주옥 같은 저서는 바로 이 무렵 18년간의 유배 생활
동안 쓰여진 것이다.


이 때 그는 스스로 호를 여유당(與猶堂)이라고 불러 초대 교회 창립을 위해 명도회를
조직, 회장으로 크게 활약한 형 약종과 매부 이승훈이 서소문 밖에서 순교한데 대해
부끄러움을 표시했다.



정 다산 기념관

 

그는
당시의 참담한 심정과 외로움을 「만천 유고(蔓川遺稿)」에서 "한평생을 살다보니
어쩌다가 죄수가 되어 옥살이를 하게 되어었을까, 그 옛날 어질던 스승과 선배 그리고
절친했던 친구들은 다 어디로 갔나."하고 노래했다.



순교와 배교의 사이에서 갈드했던 한 인간의 애절한 생애를 말없이 지켜 보던 남한강. 우측으로 보이는 곳이 이벽 선생의 출생지 배알미리이다.

 

그러나
그는 20여 년간의 기나긴 유배생활 중에 잃었뎐 신심을 되찾는다. 1811년에는 성직자를
영입하기 위한 교회 재건운동에 간접적으로나마 참여할 정도였다. 그가 완전히 교회로
돌아온 것은 유배에서 풀려 난 지 2-3년 뒤로 볼 수 있다. 그의 생활은 은둔과 묵상,
고행과 기도로 일관했을 뿐만 아니라 회갑을 맞으면서 미리 작성해둔 자신의 묘비명
가운데는 참회와 성찰의 문구가 역력히 들어 있다. 유배 생활을 끝내고 다시 이곳
마재로 돌아온 그는 보속하는 뜻에서 기도와 고행의 삶을 살다 중국인 유방제 신부에게
병자 성사를 받고 7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마재에서는 또한 천진암 앵자봉 능선을 멀리 바라다 볼 수 있다. 그리고 천주교회의
큰 초석이 된 권철신 5형제의 집터가 있는 양근(陽根) 대감 마을과도 지척이다. 때문에
마재는 당시 천진암 주어사에서 천주학을 공부하던 선비들이 글 읽는 소리가 멀리서
들려 오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곳이기도 하다.


    
        
    
    
        
    
찾아가는 길

서울
            쪽에서 가자면 6번 국도를 따라 팔당댐을 지나 양수리 쪽으로 3km쯤
            가면 철길을 만난다. 철길을 통과하자마자 우측으로 돌면 마재로 가는
            좁은 길이 이어진다, 열차 편을 이용할 겨우 중앙선 능내역에서 하차,
            도보로 15분 정도 걸린다.


 

 

 

마재 다산 정약용 형제 생가터입니다[이범석 형제님 사진 제공]

 

마재 다산 정약용 선생 기념관(전시실)입니다[이범석 형제님 사진 제공]

 

마재 다산 정약용 선생 묘비입니다[이범석 형제님 사진 제공]

 

마재 다산 정약용 선생 묘 안내판입니다[이범석 형제님 사진 제공]

 

잘 보존되어 있는 정 다산 생가 터

'성지·사적지 > 의정부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정부]황사영 묘  (0) 2005.03.01